본문 바로가기

간호지식8

허혈, (ischemia) 의 발생기전 오늘은 임상에서 근무중인 간호사 선생님들 이시라면 허혈 , ischemia 라는 말을 들어보셨을텐데 정확히 허혈이 무엇인지, 발생기전에 대해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허혈(ischemia)이란 ? 허혈(ischemia)은 신체조직의 혈류 저하로 인해 영양, 산소공급이 부족 등으로 인한 세포손상 상태로 심박 출량의 감소와 혈관저항의 증가 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이야기 한다. 허혈(ischemia) 은 왜 생길까 ? 1. 심박출량의 감소 심박출량의 감소 주된 요인은 총 혈액량의 감소, 혈관확장, 심장의 펌프 효율성 저하 이다. ① 총 혈액량의 감소: 출혈, 화상, 탈수에 의해 초래 ② 혈관 확장: 패혈성 쇼크의 치료(혈관 확장제 투여),신경성 쇼크, 아낙필락시스성 쇼크의 경우 전신 혈관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인.. 2024. 1. 4.
응급간호학, 코로나의심환자 심폐소생술, 기본소생술(BLS)/제세동기 사용 오늘은 응급간호학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심폐소생술, 기본소생술(BLS)에 대한 정보와 제세동기 사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잠잠한듯 하지만 우리곁에서 사라지지않는 지긋지긋한 코로나의심환자(covid-19) 의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릴께요. 환자를 살리되 우리안전은 잘 지켜야겠죠 :) 먼저 기본술을 BLS라고 하죠. 그과정과 제세동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본소생술(BLS) 과정, 제세동기 사용 ① 현장 안전 확인 안전하지 않은 장소에서 발견한 경우에 환자, 구조자 모두 안전한 곳으로 이동 한다. 외상이 의심될 경우는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② 반응확인 어깨를 두드려 깨워 본 뒤 반응이 없다면 구조요청, 119신고 및 제세동기 요청, 구급상황(상담)요원의 조언에 따라 행동 한다. ③.. 2023. 12. 26.
노인간호학, 치매환자 증상과 대처요령 현재 추정되는 전국 치매환자는 960,555.6 명으로 7.3%가 치매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 지며 (중앙치매센터) 급증하는 치매환자로 인해 치매환자에 대한 인식, 환자관리, 문제점 예방에 대한 관심들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은 치매환자의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적절한 간호사의 대응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1. 치매는 ? 일상생활이 가능하던 사람이 후천적으로 인지능력이 상실된 상태로 흔히 나타나는 정신행동증상으로 기억감퇴, 지각, 정서 사고내용 및 행동장애에 의해 정신행동증상이 동반된다. 치매환자의 90%가 우울, 공격성, 배회, 초조, 무감동 등 증상이 나타난다. 다음은 정신행동증상을 정신심리증상과 행동증상으로 구분하여 나열해본 것이다. 1) 정신심리증상 ① 치매 유형중 가장 흔한 증상으로 우울, .. 2023. 12. 23.
타이레놀, 안전한 복용법 & 효능 & 부작용 감기에 걸렸을때나 두통같은 생활 통증에 가장 잘 알려져있고, 부작용이 적어서 쉽게 복용할 수 있는 [ 타이레놀 ] 에 대해 알아봅시다. 1.효능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라는 화학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해열진통제로, 통증 및 발열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통증 완화 (Analgesia): 타이레놀은 가벼운 통증부터 중등도의 통증까지 다양한 종류의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통, 요통, 관절통, 월경통, 근육통, 치통에 효과적입니다. -해열제 (Antipyretic): 발열을 낮추어 체온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는데 도움을 줍니다. 2. 사용법 -만 12세 이상 소아 및 성인 -1회 1~2정씩 1일 3~4회 (4~6시간 간격으로 )물과 함께 복용 하면 됩니다. 1일 8정 (4그램)을.. 2023.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