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지식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 분류방법 & 호흡기능유지 방법

by 널스초이 2024. 1. 4.

고위험 신생아

 

 

신생아는 출산과 동시에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감염에 노출되거나 재태기간동안 알지못했던 

질병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오늘 고위험 신생아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신생아를 고위험에 분류하게 되는지

그 분류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고위험 신생아 분류

 

1) 크기에 따른 분류 : 출생시 체중에 따라 분류된다.

 

-저체중 출생아 (Low Birth Weight: LBW ) - 재태연령과 상관없이 출생체중이 2,500gm 미만인 영아

-극소저체중 출생아( Very Low Birth Weight, VLBW) : 출생체중이 1,500gm미만인 영아

-초극소저체중 출생아(Extremely Low Birth Weight, ELBW) : 출생체중이 1,000gm 미만인 영아

 

2) 재태연령에 따른 분류

 

- 조산아 Premature(Preterm) : 출생시 체중과 상관없이, 재태기간 37주 전 출생아

- 만삭아(Full-term) : 출생시 체중과 상관없이, 재태기간 37주와 42주 사이의 출생아

- 과숙아(Postmature) : 출생시 체중과 상관없이, 재태기간 42주 후 출생아

- 출생 후 24시간이내 신경근육성숙도와 신체 성숙도를 사정하여 재태연령을 사정하는 발라드 사정법이 있다 .

 점수와 주수는 비례한다.

 

3) 재태연령과 출생시 체중을 고려한 분류

 

재태연령에 따른 분류는 출생시 체중과 상관없이 주수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이 분류는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을 고려한 분류이다.

 

- 적량아(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 체중이 자궁내 성장곡선의 10-90백분위수 사이의 영아

-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 자궁내 성장률이 느리고, 출생시 체중이 10백분위수 미만인 영아

- 부당중량아(Large fo Gestational Age, LGA) : 출생시 체중이 자궁내 성장곡선의 90백분위수 이상의 영아.

   산모가 당뇨환자인 경우 흔히 볼 수 있다.

고위험 신생아의 호흡기능 유지방법

 

 

 

2. 고위험 신생아의 호흡기능 유지법

고위험신생아의 호흡곤란시 호흡기능 유지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산소투여

 

조직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저산소증에서 생기는 과당의 축척을 예방하고 잠재적으로 산소의 압력상해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다. 모든 산소 주입전 보온후 가습화 해야한다.

이산화탄소 축적 방지를 위해 5L/min 속도로 투여한다. 주의사항 청색증 관찰, 동맥혈 산소분압 4시간마다 측정

(40% 이상인지 확인), 급성기동안 동맥혈 산소분압을 50-80mmHg로 유지, 회복기동안 산소농도는 23-30% 유지, 장기간 25-40% 농도 유지시 미숙아의 수정체 후부 섬유조직증식증을 초래하므로 주의, 경과호전시 산소농도를 서서히 낮추어 산소투여를 중단, 산소투여법을 받은 모든 미숙아는 퇴원전 안과적 검진 해야 한다. 부적절한 산소투여로 뇌사 또는 폐, 눈의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2) 지속적 기도양압법

 

자발적 호흡을 하는 신생아에게 일정한 양압을 주입한다. 공급방법은 비강튜브, 비인두튜브, 기도내관이 있다.

호기말 폐포의 공기를 유지하여 기도 저항과 호흡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아동에게 주로 압력제한 환기장치(pressure-limited ventilators)사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공기를 전달한다.

기도, 폐손상을 예방하도록 1호흡량을 조절한다.

 

3) 기계적 환기

 

호기말양압법(PEEP) : 신생아의 호기와 강제호흡 사이에 증가된 호기말 압력을 넣어서 폐포가 쪼그라드는 것을 막고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기도내관 및 압력, 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인공호흡기로 공급한다.

 

아동간호사는 기본적인 신념과 가치관의 확립으로 전문 간호사로서의 직업의 책임을 가져야 한다.

환아 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성, 의사소통, 정보공유,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포괄적인 건강증진과 정서적 간호를 수행한다. 아동간호사는 옹호자, 교육자, 자각간호 촉진자. 직접간호 제공자, 협력자,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하며 윤리적 딜레마의 상황에서도 관대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되 자신의 윤리적 신념, 간호 철학이 확고하여야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다.